이~~만치 떨어져 있는 서버들간의 원하는 디렉토리등을 늘 같은 상태로 싱크할수 있는
rsync사용법~
아래 예제는 톰캣서버의
usr/local/tomcat/webapps/lulu_front/images_game/
/usr/local/tomcat/webapps/lulu_front/demon/html_source/
두 경로를 아파치서버의
/usr/local/apache/images
/usr/local/apache/html_src
두경로와 싱크하는 작업예제입니다.
현재 클론에 1분간격으로 싱크가 이루어져있네요.
참고하세요~
-------------------------------------------------
1. 아파치 서버쪽 작업.
-------------------------------------------------
1) rsync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rpm -qa | grep rsync
2) rsync 가 설치되어있다면 /etc/xinet.d/밑에 rsync 있는지 확인한다.
3) vi로 rsync 를 열어서
disable = no 로 설정하고,
only_from = ip, ip를 추가한다.(파일을 보내줄 서버. ex. 톰캣서버)
4) /etc 아래에 rsyncd.conf 파일을 열어서 편집한다.(없으면 새로 생성한다.)
# rsyncd.conf 파일 내용 예
[html]
path = /usr/local/apache/html_src
comment = html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no
hosts allow = 211.233.09.101
max clients = 2
timeout 60
[images]
path = /usr/local/apache/images
comment = images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no
hosts allow = 211.233.09.101
max clients = 2
timeout 60
5) 편집후 xinetd를 다시 실행한다.
/etc/rc.d/init.d/xinetd restart
6) /var/log/message 에서 에러가 있는지 확인한다.
-------------------------------------------------
2. 톰캣 서버쪽 작업.
-------------------------------------------------
1) crontab 에 작업을 등록한 예)
매분 html_source/ 아래의 파일을 웹서로 복사한다.
*/1 * * * * rsync -avz /usr/local/tomcat/webapps/lulu_front/demon/html_source/ 211.53.209.100::html
*/1 * * * * rsync -avz /usr/local/tomcat/webapps/lulu_front/images_game/ 211.53.209.100::images_game rsync 셋팅방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에서 tcp idle시 커넥션 짜르는 시간설정 (0) | 2007.02.28 |
---|---|
삼바(samba/smb) 셋팅하기 (0) | 2007.02.28 |
cvs 서버셋팅 (linux) (0) | 2007.02.28 |
cvs클라이언트 설정. (0) | 2007.02.28 |
ms-sql 프로시져 실행 (0) | 200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