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설치할때 보면 cvs는 이미 설치되어 있습니다...
사실 cvs가 어느 패키지않에 있는지 모릅니다..ㅜㅜ
근데 늘 깔려있드라구요 ㅜㅜ 흑흑 부디 보시는 분도 깔려있기를 바랍니다.
커맨드라인에서 cvs를 쳐보시면 아는거~~죠~!
그럼 cvs서버를 셋팅해보겠습니다.
1. 저장소를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
- 주로 /home/cvsroot 이곳을 많이 씁니다
- >mkdir /home/cvsroot... 오바인가... ㅡㅡ;
2. 저장소를 초기화 합니다
- >cvs -d /home/cvsroot init
3. cvs를 사용할 그룹을 생성(이미 있으면 할필요 없겠죠?) 사용자생성 권한변경...(root가..)
- >groupadd cvs
- >useradd -g cvs testuser
- >chmod -R 775 /home/cvsroot
4. 소유권을 넘겨준다.
- >chgrp cvs /home/cvsroot -R
5. /etc/services에 다음을 추가합니다 (있는경우는 그냥두세요)
cvspserver 2401/tcp # CVS client/server operations
cvspserver 2401/udp # CVS client/server operations
6. cvspserver 파일을 생성합니다. (xinetd사용시 /etc/xinetd.d에 inet사용시 /etc/inet.d <-요긴안해바씀
#default : off
#description : An cvs server.
service cvspserver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protocol = tcp
user = root
wait = no
server = /usr/bin/cvs
server_args = -f --allow-root=/home/cvsroot pserver
log_on_success += USERID
log_on_failure += USERID
}
7. /etc/profile을 열어서 수정해준다
export CVSROOT=/home/cvsroot
일케하고 xinet데몬 한번 재시작해주시면 잘 될듯합니다
잘안되시면...음.... 이게 "이클립스 기반 프로젝트 필수 유틸리티" (한빛미디어)
보고 따라한거니 책을 참고하시거나 찾아보세요^^
다른사용자는 cvs그룹에 계속 추가해주시면 되구요..
한유저로 같이 쓰지마세요...
버전관리는 되지만 누가 수정했는지를 알수가 없게되요^^
그리고 ant와 이클립스와 함께 사용하시면 정말 정말 큰 효과를 보십니다...정말입니다.
위에 말한 책을 한번꼭보시고...
에디터만으로 정말 잘하시는분들도 계시지만 저같은 평민(?)의 경우에는
에디터만으로 작업할때와는 비교가 안되게 효율도 좋아지고 관리도 잘됩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바(samba/smb) 셋팅하기 (0) | 2007.02.28 |
---|---|
rsync 셋팅방법 (0) | 2007.02.28 |
cvs클라이언트 설정. (0) | 2007.02.28 |
ms-sql 프로시져 실행 (0) | 2007.02.28 |
XSS (Cross Site Scripting) 에 관하여. (0) | 200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