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에서 플래쉬 위로 잘 보이던 레이어가 FF에서는 화면아래로 쏙 들어가버립니다 ㅜㅜ
바빠죽것는데 궁시렁 거리며 검색해보니 wmode의 문제였습니다.
<object classid="이런저런.." codebase="이런저런.." width="가로" height="세로">
<param name="movie" value="경로">
<param name="quality" value="high">
<param name="wmode" value="opaque">
<embed src="경로" quality="high" pluginspage="이런저런.." width="가로" height="세로"></embed>
</object>
위 내용이 우리가 쓰는 플래쉬 삽입하는 부분입니다.
위 코드 자체가 크로스브라우징을 위한 코드라는 것도 오늘알았네요..
object부분은 IE embed부분은 IE이외의 브라우져를 위한 부분입니다.
보시면 object의 하위 엘리먼트로 wmode가 있는데 embed의 속성중에는 wmode가 없습니다.
embed의 속성으로 wmode="opaque" 혹은 wmode="transparent"을 주니 FF에서도레이어가 플래쉬 위로 나오네요^^
덧붙여 wmode의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출처:http://cafe.naver.com/webdori/781>
바빠죽것는데 궁시렁 거리며 검색해보니 wmode의 문제였습니다.
<object classid="이런저런.." codebase="이런저런.." width="가로" height="세로">
<param name="movie" value="경로">
<param name="quality" value="high">
<param name="wmode" value="opaque">
<embed src="경로" quality="high" pluginspage="이런저런.." width="가로" height="세로"></embed>
</object>
위 내용이 우리가 쓰는 플래쉬 삽입하는 부분입니다.
위 코드 자체가 크로스브라우징을 위한 코드라는 것도 오늘알았네요..
object부분은 IE embed부분은 IE이외의 브라우져를 위한 부분입니다.
보시면 object의 하위 엘리먼트로 wmode가 있는데 embed의 속성중에는 wmode가 없습니다.
embed의 속성으로 wmode="opaque" 혹은 wmode="transparent"을 주니 FF에서도레이어가 플래쉬 위로 나오네요^^
덧붙여 wmode의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출처:http://cafe.naver.com/webdori/781>
window : 기본값으로 모든 html 엘리먼트 위로 flash 가 나타납니다.
opaque : flash 위에 html 엘리먼트를 위치 시킬때 사용합니다.
transparent : flash 를 투명하게 하여 flash 아래의 html 엘리먼트가 화면상에 나오게 됩니다
opaque나 transparent 를 사용하면 html 엘리먼트를 flash 위에 올릴 수 있습니다. transparent 는 CPU 점유율이 높아지므로 사용하기 전에 무비의 무게를 점검해 봐야 합니다.
opaque 도 CPU점유율이 올라가기는 하겠지만 transparent 처럼 눈에 띄게 올라가지는 않습니다.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잡큐 사용하기 (oracle, jobs) (2) | 2007.09.04 |
---|---|
부팅시 실행되는 데몬들 설정하기. (0) | 2007.05.11 |
스트래티지 패턴(Strategy Pattern) (0) | 2007.03.18 |
스크립트에서 생성한 엘리먼트에 속성주기 part 2 (0) | 2007.03.17 |
스크립트에서 생성한 엘리먼트에 속성주기. (0) | 2007.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