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6)
독서. 기회가 되면 앞으로 도서관이나 조용한 까페에서 책을 읽고 싶다라는 마음만 가지고 있었는데 factotum 님이 이미 그렇게 지내오고 계시네요^^ 올린 포스트의 까페는 꼭 가보고싶어요~ 언젠가부터 책은 지하철에서만 읽게 되버렸습니다. 한마디로.. 지하철 시간때우기용으로 전락해버렸죠 ㅜㅜ 집에서 책을 읽어보겠다고 잡으면 금새 졸거나 저도모르게 키보드에 손이가있곤 합니다. 간간이 TV로 눈이 가기도하구요... 모든게 자신의 맘에 달려있긴하지만 환경의 영향도 무시할순 없을것 같다 라는 믿음으로 다들 독서에 빠져있는 그런 곳에가서 책을 읽어봐야겠습니다. 가능하다면 기술서적을 읽을때는 노트북도 가져가서 듬뿍읽은 후에 배터리가 허용하는 시간내에 그날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트로 써보고싶네요. 자꾸만 해야할 것들이 늘어만가..
피곤해.. 주말이 꽤 정신이 없었습니다. 토요일에 친구와 CatTv에서 주최한 슈퍼카들 전시회를 가고 (놀라운건 다들 우리나라 사람들의 개인차였습니다 ㅜㅜ) 대학로에서 열린 경실련 모임에 갔다가 장인어른 칠순잔치를 위해 상주에 내려갔습니다. 처제 동서들과 새벽까지 고스돕을 치고 아침에 눈뜨자마자 어른들을 모시고 직지사에 가서 한정식을 먹고 다시 시골에 모셔다 드리고 동서네에가서 한숨돌리고 올라오니 지금이네요. 이틀을 쉴수있게 된게 정말 다행스럽습니다. 하고싶은 것들을 다 해내려면 돈도 많이 중요하겠지만 체력도 참 중요해보입니다. 얼른 쉬고 일찍출근해서 금요일 저녁에 사고친거 마무리해야겠습니다. (처가에갈때 기차에 가방을 두고내리는 충격적인 만행을 저질렀지만 역에 부탁하니 올라오는 기차를 탈때 편안하게 되찾았습니다...
성어가 되어가는 메탈코브라 구피 작년 12월에 세상밖으로 나온새끼구피들이 벌써 이만큼 자랐습니다. 정말정말 보여주고싶을 만큼 화려한 옷을 입었는데 똑딱이 카메라로 무리해서 고감도로 찍었더니 노이즈도 심하고 덜 이쁘게 나왔습니다 ㅜㅜ 더 아쉬운건.. 수컷이 저렇게 화려한데 한마리만 수컷이었습니다 ㅜㅜ (행복하니?)
쟈스민이 꽃을 피웠습니다. 터질듯이 머금고 있던 꽃망울을 드디어 터뜨렸습니다. 향기도 모습처럼 예쁘네요^^ 그런데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져서 한동안 집안에서 지내야겠습니다.
세상밖으로. 삼일절에 심은 씨앗들이 세상구경을 나왔습니다. 혹여나 하는맘으로 심은 토마토도 너무 많이나와줘서 미안하네요.. 큰화분이 하나밖에 없는데 ㅜㅜ 오이도 얼마나 클려는지 새싹부터 분위기가 엄청납니다. 아.. 허브는 아직 소식이 없네요.. 노랑 조롱박 토마토. 미니오이.
p6spy을 이용하여 Sql로깅하기.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해 질의시에 바인딩변수까지 포함해서 로그를 남겨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SELECT * FROM MYTABLE WHERE ACOL = ? AND BCOL = ? 의 형식으로 보던 것을 SELECT * FROM MYTABLE WHERE ACOL = 'VALUE1' AND BCOL = 'VALUE2' 처럼 보실수 있습니다. http://www.p6spy.com/에서 소개와다운로드를 받으실수 있습니다. Tomcat5에 셋팅시에 사이트에 문서와는 조금 다르게 셋팅을 해야 합니다. /톰캣홈/common/lib에 p6spy.jar를넣어두신다면 spy.properties파일을 /톰캣홈/common/classes/아래에넣어주시면 됩니다. Tomcat4처럼 해당 경로가 없는경..
블로그 말투(글투?). 오늘부로 반말끝 존댓말 시작입니다. 획기적인 사연은 없지만.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도 곱다는 어른들의 말도있고. 쓰는 글이 고우면 쓰는말도 고와지고 더불어 삐딱삐딱해진 맘도 고와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CSS를 사용할 때의 정렬 : 수평 가운데 정렬 일반적으로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할때 자주 접하게 되는 형태입니다. 테이블 안의 테이블 혹은 테이블안의 등.. 위 처럼 겉을 감싸는 테이블이 있고 그안에 테이블이 있는데 안의 테이블을 css에서 가운데로 정렬하고 싶을때 우선 찾았던 방식은 위와 같았습니다. 하지만 text-align: center;는 원래 텍스트 속성에만 정의되는것이 표준이고 IE에서 잘못해석되고 있다고 합니다. FF에서보니 확실히 무시가 됩니다. 그래서 고수분들께질문한결과 친절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IE에서 잘못해석되고 있다는 것과 margin : 0 auto; 를 사용하면 된다는 답변이었습니다. 해당글은 공개되어 있으니 직접보시는게 빠를것 같습니다.글보기 그리고 오늘 한번 다시 훑어보니 동사이트 Wiki에 이미 잘 정리가 되어있네요..

반응형